신생 블로그의 경우 검색엔진에 노출이 잘 되게 하기 위해 검색등록이나 RSS등록을 해주기도 합니다.
뭐,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내 글을 긁어가기도 하겠지만 그때가 언제일지 기다리고만 있을 수는 없다면요.
직접 구글 사이트에 내 블로그의 RSS를 등록해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죠~
네이버블로그는 네이버에 따로 등록하지 않아도 알아서 잘 가져가지만 티스토리는 네이버에 먼저 다가가 등록을 해주어도 좋아요. 일단 그 방법은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언급하기로 하고~
오늘은 구글 RSS 등록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내 블로그 RSS주소 알아두기. |
|
[N사] 내 블로그 화면에서 위젯 영역을 살펴보면 rss 피드 위젯이 걸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모양은 각자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, 대충 알아보시겠죠?
다른거 말고 rss 2.0을 눌러 새 창이 뜨면 그 새 창의 주소를 복사해두면 됩니다.
주소창 아래 나열된 소스는 머리 아프니 신경쓰지 마시고~ 주소만 딱 복사해두세요. 이게 내 블로그의 RSS주소랍니다.
일반적으로 N블로그를 사용하신다면 http://blog.rss.naver.com/내아이디.xml 형식으로 보여진답니다.
만약 이와 다르다면 rss 2.0 을 누른 게 아니심다..
[T사] 티블로그 RSS 주소는 간단해요. 블로그주소 마지막에 /rss 만 붙여주면 됩니다.
2. 구글 블로그등록 링크 찾아가기 |
|
구글 사이트에 접속해서 '구글블로그등록'이라고 검색어를 쳐보면 'Google 블로그 검색 핑 서비스' 라고 나오는데요
이걸 클릭해서 들어가봅니다.
3. 내블로그 RSS주소 등록하기 |
|
아래 블로그 주소란에 아까 복사해둔 rss피드 주소를 넣어주면 됩니다.
단순히 블로그 주소를 넣어줘도 된다고는 하는데요
rss가 서로 다른 웹사이트끼리 자료를 주고 받기 위해 약속된 규격이므로 읽어들인 내용을 각 사이트의 스타일에 맞게 변환하기도 쉽게 해당 주소를 통한 로봇의 정보수집이 더 빠르지 않겠나~ 하는 /일부/ 혼자만의 생각으로 rss주소 넣기를 추천해봅니다.
이렇게 주소 넣어준 다음 블로그 전송 버튼을 누르면 끝!
주절주절 말은 길었지만 과정은 정말 초간단했지요? ^^
추가로, 구글 웹마스터 도구 중 사이트 추가 등록 관련 페이지에서 내 블로그를 구글 색인에 추가해 업데이트하게끔 하는 것인데요.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이것도 신청해보세요. 여기눌러이동~
내블로그 주소 넣고 하단에 있는 로봇이 아닙니다 버튼 눌러 초록색 체크 뜬 다음 요청제출 하면 됩니다.